한국인의 성씨와 족보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09-30 19:02
본문
Download : 한국인의 성씨와 족보.hwp
2. 보첩의 기원(기원)
보첩은 원래 中國의 6조(육조)시대부터 스타트되었는데 이는 제왕연표(제왕연표 : 왕실의 계통)를 기술한 것이었으며, 개인적으로 보첩을 갖게 된 것은 한(한) 나라 때 관직등용을 위한 현량과(현량과) 제도를 설치하여 응시생의 내력과 그 선대(선대)의 업적 등을 기록한 것이 시초가 된다
특히 북송(북송)의 대 문장가인 3소 - 소순(소순), 소식(소식), 소철(소철)에 의해서 편찬된 족보는 그 후 모든 족보편찬의 표본이 되어왔다. 세보(세보)와 세지(세지)
한 종파(종파) 이상이 동보(동보), 합보(합보)로 편찬되었거나, 어느 한 파속(파속)만이 수록되었을 경우이며, 이를 세지(세지)라고도…(skip)
한국인의 성씨와 족보
한국인의성씨와족보






순서
레포트/인문사회
설명
,인문사회,레포트
다.
Download : 한국인의 성씨와 족보.hwp( 99 )
Ⅰ. 한국인의 성씨
1. 성씨의 의의
2. 성씨의 originate (由來)
3. 성씨의 득성 과정(得性過程)
4. 성씨의 성장과정(成長過程)
Ⅱ. 본관
1. 성씨와 본관과의 관계
Ⅲ. 족보 보는 법
1. 족보(族譜) 의의(意義)
2. 족보(族譜) 보는법
3. 족보 보기
Ⅳ. 보첩
1. 보첩의 의의(意義)
2. 보첩의 기원(起原)
3. 보첩의 종류(種類)
4. 보첩의 간행과정(刊行過程)
5. 보첩을 보는 방법(方法)
6.보첩의 내역(現況)
Ⅴ. 친족
1. 친족(親族)
2. 촌 수(寸 數)와 호 칭(呼 稱)
Ⅵ. 시호
1. 시호
1. 보첩의 의의(의의)
가. 보첩이란
한 종족(종족)의 계통을 부계(부계)중심으로 알기 쉽게 체계적으로 나타낸 책으로, 동일혈족(동일혈족)의 원류를 밝히고 그 혈통을 존중하며 가통(가통)의 계승을 명예로 삼는 한 집안의 역사(歷史)책이다.
한국인의 성씨와 족보에 대한 글입니다.
나. 족보(족보)
관향(관향)을 단위로 같은 씨족의 세계(세계)를 수록한 보첩으로, 한 가문의 역사(歷史)를 표시하고 가계(가계)의 연속을 나타내는 보책(보책)이다.
다.한국인의성씨와족보 , 한국인의 성씨와 족보인문사회레포트 ,
한국인의 성씨와 족보에 대한 글입니다.
3. 보첩의 종류(종류)
가. 대동보(대동보) 또는 대보(대보)
같은 시조(시조)밑의 중시조(중시조) 마다 각각 다른 본관(본관)을 가지고 있는 씨족간에 종합 편찬된 족보이다. 즉 본관은 각기 다르되, 시조가 같은 여러 종족이 함께 통합해서 만든 보책이다.
우리나라에는 고려 왕실의 계통을 기록한 것으로 의종(의종) 때 김관의(김관의)가 지은 [왕대종록(왕대종록)]이 그 효시(효시)라 할 수 있다
또한 사대부의 집에서는 가승(가승)이 전해 내려왔는데, 체계적으로 족보의 형태를 갖춘 것은 조선 성종(성종) 7년에 발간된 안동권씨 성화보(안동권씨성화보)이고, 지금과 같이 혈족(혈족) 전부를 망라한 족보는 조선 명종(명종)때 편찬된 文化(문화)유씨보(文化(문화)유씨보)로 알려졌으며 지금까지 전해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