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 내 학생간의 서열화 연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10 16:29
본문
Download : 학교 내 학생간의 서열화 연구.hwp
Download : 학교 내 학생간의 서열화 연구.hwp( 28 )
학교 내 학생간의 서열화 연구
순서
학교 내 학생간의 서열화 연구
1. 연구의 목적
김정원(1997)에 따르면 교육에 있어서 가장 중요하다고 할 수 있는 시간인 수업 시간에 교사는 끊임없이 진행되는 상대적 서열화를 통해 우등생들이 상호 경쟁을 통해 공부를 하게 하는 역할을 하며, 상대적으로 열등한 학생들을 쉽게 통제한다. 또한 수업시간 뿐만 아니라 쉬는 시간, 점심시간, 청소시간 등에도 그러한 서열화가 드러나는지 살펴보려 한다.
이렇듯 학생들 사이의 서열화는 학생들이 합리성과 보편성을 배우기보다는 오히려 힘의 논리에 잠식되도록 만들어 바른 교육에 악影響(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김정원(1997)에 따라 ‘학생들 사이의 서열화는 성적이 가장 큰 影響(영향)을 미친다. 그리고 observation한 점과 학생들과의 면담을 바탕으로 설문 문항을 작성하여 학생들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3. 연구 과정 및 결과
(1)…(생략(省略))
레포트/인문사회






학교 내 학생간의 서열화 연구
설명
학교,내,학생간,서열화,인문사회,레포트
학교 내 학생간의 서열화 연구 , 학교 내 학생간의 서열화 연구인문사회레포트 , 학교 내 학생간 서열화
다.’라고 가정하고, 이를 여러 연구 방법을 통해 검증해 보고자 하였다.
2. 연구 대상 및 연구 방법
(1) 연구 대상
연구자들이 2013년 5월 한 달 동안 교생 실습을 중학교로 나가기 때문에 해당 연구자들이 담당하게 된 중학교 4개 학급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러한 통제방식은 학생들 사이에서 힘의 관계 형성에 결정적인 기준으로 작용하며, 이러한 힘의 차이에 따라 불평등한 모습이 나타나게 된다된다.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부설중학교 3학년 3반 (담임교생 : 서완택)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부설중학교 3학년 8반 (담임교생 : 황민건)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부설여자중학교 2학년 5반 (담임교생 : 문미르, 배득묵)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부설여자중학교 3학년 4반 (담임교생 : 정자연)
(2) 연구 방법
수업시간과 학급 운영(체육대회 주자 선정, 반티 제작, 합창대회 연습 스케줄 조정, 학급회의 등)에서 서열화가 어떻게 일어나는지 실제 수업을 진행하는 교사나 담임교사의 입장에서, 그리고 수업과 학급 운영을 참관하는 observation자의 입장에서 학생들을 observation해 보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