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상적 사용 / 일상적 사용 (Everyday Use)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23 06:46
본문
Download : [기타] 일상적_사용.hwp
이 일차과정을 지배하는 규제원칙은 쾌·불쾌의 원칙 또는 쾌락원칙이라고 하였다. 또, 내용을 비평하기 보다는 한 줄로 느낀 점을 요약하는 것이 책을 읽고나서 난 후의 할 일이었다. 이 쾌락원칙은 Lustprinzip이라 하며 불쾌한 긴장에 의해서 조절되고 최종결과는 긴장의 완화로 불쾌를 피하고 쾌를 얻도록 방향을 잡는 것이다. 특히 문학작품을 읽으면서 주인공들의 심리에 대하여 집중하지 않았던 것 같다. 이 쾌락원칙은 현실원칙과 대치되었다. 그렇다면 Wangero의 모습을 살펴보도록 하자.
Ⅱ. 본 론
그러면, ‘Everyday Use`를 읽으면서 좀 더 자세히 심리주의 비평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자.
Ⅰ. 서 론 Ⅱ. 본 론 1. Freud와 쾌락원칙 1) Wangero ( Dee) 2) 쾌락주의 2. Freud와 현실원칙 1) Mama 2) Maggie Ⅲ. 결 론 참고문헌 S.프로이트/ C.S 홀/ R.오스본, 설영한 옮김, 프로이트 심리학 해설 선영사, 1985 프로이트, 쾌락원칙을 넘어서, 열린책들, 1997 프로이트, 무의식에 관하여, 열린책들, 1997 프로이트, 히스테리의 사례와 연구, 열린책들, 1997
Ⅱ. 본 론
설명
2) Maggie
1) Mama
1. Freud와 쾌락원칙
Ⅰ. 서 론
2) 쾌락주의
프로이트, 히스테리의 instance(사례)와 연구, 열린책들, 1997
더욱이 사람의 심리에 대하여 생각해 본적은 없다.
2. Freud와 현실원칙
1. Freud와 쾌락원칙
일상적사용, Everyday Use, 프로이트쾌락, Freud, 프로이트현실
Download : [기타] 일상적_사용.hwp( 94 )
순서
1) Wangero ( Dee)
Ⅲ. 결 론
일상적 사용 / 일상적 사용 (Everyday Use)
다. 단순하게만 그들의 모습을 지켜보는 역할만 하였다. 프로이트, 무의식에 관하여, 열린책들, 1997
Ⅰ. 서 론
![[기타] 일상적_사용-6035_01.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0805/%5B%EA%B8%B0%ED%83%80%5D%20%EC%9D%BC%EC%83%81%EC%A0%81_%EC%82%AC%EC%9A%A9-6035_01.gif)
![[기타] 일상적_사용-6035_02_.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0805/%5B%EA%B8%B0%ED%83%80%5D%20%EC%9D%BC%EC%83%81%EC%A0%81_%EC%82%AC%EC%9A%A9-6035_02_.gif)
![[기타] 일상적_사용-6035_03_.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0805/%5B%EA%B8%B0%ED%83%80%5D%20%EC%9D%BC%EC%83%81%EC%A0%81_%EC%82%AC%EC%9A%A9-6035_03_.gif)
![[기타] 일상적_사용-6035_04_.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0805/%5B%EA%B8%B0%ED%83%80%5D%20%EC%9D%BC%EC%83%81%EC%A0%81_%EC%82%AC%EC%9A%A9-6035_04_.gif)
![[기타] 일상적_사용-6035_05_.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0805/%5B%EA%B8%B0%ED%83%80%5D%20%EC%9D%BC%EC%83%81%EC%A0%81_%EC%82%AC%EC%9A%A9-6035_05_.gif)
프로이트, 쾌락원칙을 넘어서, 열린책들, 1997
책을 읽으면서 책 내용에 대하여 그리 많은 생각을 해 본적은 없다. 더불어 문학작품을 심리주의에 의해 비평할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소설이든 학문을 위한 책이든 간에 책의 내용을 그대로 받아들이려고 노력했던 것 같다. 그저 책을 읽고나서 받아들이는 것이 전부였다.
S.프로이트/ C.S 홀/ R.오스본, 설영한 옮김, 프로이트 심리학 해설 선영사, 1985
레포트 > 기타
프로이드는 인간의 무의식에 관하여 이야기를 하였는데 무의식의 정신과정을 정신 발달 단계의 초기에 이루어지는 원초적인 일차과정으로 보았다.
bibliography
이런 쾌락의 원칙은 Wangero의 모습에서 많이 찾아 볼 수가 있었다.
`Everyday Use`의 내용을 살펴보면, 각각의 캐릭터별의 특징을 프로이드의 논리에 입각하여 구분 지을 수 있게 된다. 이 외에도 자아가 발전 단계를 따라 변해가는 동안 정신기관에서 발생하는 갈등과 알력 속에서 불쾌를 발견할 수 있다고 하였다. 하지만 이번 발표를 계기로 Freud의 理論(이론)과 인간 심리에 관하여 많은 생각을 할 수 있었던 것 같다. 이러한 쾌와 불쾌의 감정은 인간의 마음 중 가장 불투명하고 접근하기 어려운 부분이라고 보고 있다 또 이것은 어떤 방식으로도 <묶이지>않은 흥분의 양과 연결시키기도 했고, 불쾌는 흥분의 양의 <증가>에, 그리고 쾌는 그것의 <감소>에 해당되도록 연결시키기로 하였다. 이 현실원칙은 소수의 경험에서 적용될 수 있는 불쾌의 근원이 되었다.